반응형
발단은 미국이 중국의 이동통신사인 차이나 모바일의 미국진출을 거부하자 이에 앙갚음으로 미국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의 중국내 생산을 비롯해 판매까지 금지하면서 2018년 7월 6일 시작되었습니다.
차이나 모바일 같은 경우에는 중국내에서 무려 9억명이 넘는 가입자를 보유한 큰 통신사업체 입니다.
미국과 중국이 반도체와 5G 통신장비등의 첨단정보기술의 핵심분양를 겨냥했다는 부분에서 세계경제에 미치는 효과(퍼펙트 스톰)를 불러왔으며, 그에 따른 손실피해규모가 약 2조달러에 이른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질적인 무역전쟁의 본질은 중국이 미국의 5G 통신시장을 장악하기 위하여 중국의 화웨이와 ZTE의 기술력과 경쟁력있는 낮은 가격을 내세워 미국 시장에 진출시도 하였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5G는 인공지능, 무인드론, 로봇제어,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미래 4차 산업혁명 서비스 상용화의 기반이 되기 때문인데요.
미국의 입장에서 이런 핵심기술의 인프라를 중국에게 뺏기는 것에 미국정부가 나선 것입니다.
5G의 통신시장의 세계적인 규모를 추산하자면 약 12조달러이기 때문에 미국은 우방국들에게 중국업체의 5G의 통신장비를 사용하지 말아달라고 종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생각하는 5G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의 핵심추진과제이며, 중국의 입장에서는 "중국제조 2025"의 핵심중 하나입니다.
중국의 인공지능기술의 세계적인 리더가 되기위한 목표를 세웠다고 합니다.
반응형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에 나오는 '스토브리그'란 무엇일까? (0) | 2020.05.14 |
---|---|
한국프로야구 구단별 우승횟수, 연고지, 창단연도 (0) | 2020.05.14 |
세계 5대 프로축구리그는? (0) | 2020.03.18 |
세계 각국의 화폐단위 (0) | 2020.03.17 |
국가간 마이너스 통장 "통화스와프" (0) | 2020.03.17 |
댓글